최명길의 두 가지 잘못

한국고전번역원

내일을 여는 신문 | 입력 : 2017/11/06 [07:46]

                                           최명길의 두 가지 잘못

   
번역문

   무인년 공은 심양(瀋陽)에 인질로 있다가 돌아와 문충공(文忠公 최명길(崔鳴吉))에게 말하기를,

“아버님이 국정을 담당하면서 잘못하신 일이 두 가지 있으니, 김청음(金淸陰 김상헌(金尙憲))을 논박하여 배척한 것과 중을 홍승주의 군문(軍門)으로 보낸 것입니다. 화의와 척화는 서로 배치되지만 모두 국가를 위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입니다. 아버님이 하신 말씀이 지금에 와서 결국 증명되었고, 이는 사람들이 모두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남한산성에서 화친의 맹약을 맺은 것은 다행이 아니라 치욕입니다. 아버님이 나라를 보전했다고 반드시 칭송받을 일도 아니고 청음 공이 일을 망쳤다 하여 반드시 비난받을 일도 아닙니다. 오직 의심과 간극을 없애고 서신을 보내 청나라와의 화친이 부득이한 일이었음을 분명하게 밝히시고 또한 명분을 중시하는 의론이 없어서는 안 된다고 장려하여, 서로 간의 감정이 해소되게 해야 할 것입니다. 어찌 잘잘못을 거론해서 서로 반목한단 말입니까. 그리고 명나라에 소식을 전하고자 한다면 마땅히 별도로 한 명의 사신을 보내 상주문을 가지고 뱃길로 가게 하되 옛날 고려 때에 송나라와 왕래하던 옛길을 다시 찾아낸다면, 순조롭게 중국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중에게 배를 주어서 심양 근처를 스쳐 지나가게 했으니, 정찰이 계속되어 오랑캐에게 발각되기 쉽습니다. 비록 혹 군문에 이른다 하더라도 반드시 황제의 조정에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라고 하자, 문충공은 크게 깨닫고 말하기를,
   “내가 그런 생각을 못했구나.”
라고 하였다.

 

원문

戊寅公自質瀋還白曰: “大人當國, 有二事差失, 論斥金淸陰, 送僧洪軍門是已. 議和與斥和事雖角立, 心皆爲國. 而到今究竟大人之言始驗, 此則夫人皆知之矣. 雖然城下之盟, 匪幸伊辱, 在大人不必以存國爲多, 在淸陰亦不必以誤事爲咎. 唯當祛疑阻通書問, 深明和事之不得已, 亦獎淸議之不可無, 使彼此之間, 心事洞然. 何可提論得失. 與之相貮哉, 且欲通信南朝, 宜別遣單使, 齎奏航海, 復尋麗朝通宋舊路, 一帆風可達中州. 今乃資僧以船, 掠過遼瀋界, 候望相接, 易爲虜覺. 雖或得至軍門, 亦難必達帝庭矣.” 文忠公大悟曰: “吾不知出此.”

- 남구만(南九萬, 1629-1711) 『약천집(藥泉集)』 권21, 「좌윤 최공의 묘갈명(左尹崔公墓碣銘)」

   
해설

   이 글은 최명길의 아들 최후량(崔後亮)의 묘갈명이다. 인용한 부분은 병자호란이 끝난 뒤 최후량이 최명길에게 한 말이다. 최후량은 아버지만큼 역사에 뚜렷한 흔적을 남기지는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 그리고 병자호란과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남았다.

 

   최후량은 원래 최명길의 동생인 최혜길(崔惠吉)의 아들이었다. 생모가 일찍 죽어 양육할 사람이 없자 최명길이 데려와 길렀는데, 마침 최명길과 첫째 부인 장씨 사이에 오랫동안 아들이 없어서 최후량을 양자로 들여 후사로 세웠다. 그런데 장씨가 일찍 죽고 재혼한 둘째 부인 허씨에게서 아들이 태어났다. 이런 경우 양자를 파양(罷養)하고 친아들을 후사로 바꿔 세우는 것이 관례였다. 그러나 최명길은 이미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맺은 이상 사정이 달라졌다고 관계를 끊는 것은 천륜에 어긋난다며 결국 파양을 하지 않았다.

 

   최후량이 21살 되던 1636년 병자년 12월에 청나라가 쳐들어왔다. 인조와 조정의 신료들은 남한산성으로 피신했고 봉림대군 등 왕실 사람들과 양반가의 사람들은 강화도로 피난했다. 최후량도 남한산성으로 들어간 아버지 대신 장남으로서 집안사람들을 이끌고 강화도로 들어갔다.

 

   다음해 1월 강화도가 함락됐다. 청나라 군대는 약탈을 자행했다. 귀천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포로가 되었다. 당시 청나라 군대에는 ‘최명길의 가족은 침탈하지 말라’는 명령이 내려져 있었다. 최명길이 청나라 진영을 드나들며 화친을 주도했기 때문이었다. 최후량은 이 사실을 알고 홀로 청나라 군영으로 들어가 자신이 최명길의 아들이라고 밝히고 군사들의 약탈로부터 보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청나라 장수는 그의 식솔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부하들이 약탈하지 못하게 조치했다. 이때 다른 양반가의 가족과 강화도 주민 중 상당수를 최씨 집안의 가솔이라고 속여 목숨을 보전할 수 있게 했다. 당시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형 김상용(金尙容)도 강화도에 있었는데, 그는 강화도가 함락되던 날 성 남문에 쌓여 있던 화약더미에 불을 놓아 자결했다.

 

   이후 조선의 조정은 화친이라는 이름의 투항을 결정하고 성을 나와 충성을 맹세했다. 청나라는 화친의 조건으로 볼모를 요구했다. 재상과 판서의 자제들이 볼모가 되어 심양으로 가게 됐고 최후량도 그중 하나였다. 얼마 뒤에 최명길도 심양으로 갔다. 명나라와의 싸움에 군대를 파병하라고 요구하는 청나라와 담판을 짓고, 포로로 잡혀가 있던 조선인 수천 명을 속환해 왔다. 조정으로 돌아와서는 포로로 잡혀갔다 돌아온 여인들, 소위 ‘환향녀(還鄕女)’들과의 이혼을 허락해야 한다고 도리를 앞세워 주장하는 신하들에 맞서 외로운 싸움을 했다.

 

   1642년 최명길은 또다시 심양으로 갔다. 이번에는 사신이 아닌 죄인의 신분이었다. 청나라와 화친을 맺은 뒤 최명길은 화친이 부득이했음을 알리는 글을 명나라 장군 홍승주의 군문에 있던 조선인 승려 독보(獨步)에게 주어 명나라 조정에 전하게 했다. 이 독보의 왕래를 청나라에서 의심하기 시작했고 홍승주가 청나라에 투항하면서 결국 밀통이 발각됐다. 최후량이 걱정했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영의정으로서 이 일을 관장했던 최명길은 청나라 측에 이 일은 자신이 독단적으로 벌인 것이며 왕도 알지 못한다고 주장하였고, 결국 사형수를 수감하는 심양의 북관(北館)으로 압송됐다. 그 전에 조선에 돌아와 있었던 최후량은 급히 많은 양의 재물을 가지고 다시 심양으로 갔다.

 

   당시 김상헌도 북관에 갇혀 있었다. 누군가 최후량에게 김상헌처럼 엄격하고 꼿꼿한 사람은 뇌물 쓰는 것을 싫어하지 않겠냐고 묻자 최후량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는 북관으로 가서 김상헌에게 물었다. “산의생(散宜生)은 어떤 사람입니까?” 산의생은 주나라 문왕(文王)의 신하로 문왕이 주왕(紂王)에 의해 옥에 갇히자 뇌물을 바쳐 석방되게 한 사람이다. 김상헌은 대답했다. “옛날의 현명한 사람이었지.” 최후량은 그 말의 의미를 이해했고 심양의 관련자들을 만나고 다니며 적극적인 구명 활동을 펼쳤다.

 

   결국 최명길은 물론 북관에 갇혀 있던 사람들은 모두 무사했고, 조선에 있을 때 서로 미워하고 대립하던 최명길과 김상헌은 북관에 갇혀 있는 동안 서로를 이해하는 벗이 되었다. 어쩌면 최후량이 최명길에게 한 말이 조금이나마 영향을 미쳤을지도 모르겠다.

 

   1645년 볼모로 잡혀 있던 소현세자 등과 함께 풀려나 조선으로 돌아왔다. 김상헌은 북관에서 아버지의 수발을 드는 최후량을 오랜 시간 접하면서 호감이 생겼는지 그를 극구 칭찬하는 글과 함께 노래 한 수를 이별 선물로 전했다.

 

봄꽃 활짝 피어날 때 가을 낙엽 떨어질 때 / 春花爛熳秋葉落 춘화난만추엽락
슬프게 서로 그리워하며 밝은 달 바라보겠지 / 惆悵相思共明月 추창상사공명월
                  (『청음집(淸陰集)』, 「청문의 노래. 최후량에게 주다(靑門歌, 贈崔生後亮)」 중에서)

 

   2년 뒤 최명길이 세상을 떠났다. 생전에 최명길은 나라의 중대한 현안을 최후량과 의논한 적이 많았다. 위에서 인용한 내용도 그런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최후량이 20대 초반이던 시절이다. 아버지의 상을 치른 최후량은 낮은 벼슬을 몇 번 거친 것을 제외하면 오랫동안 별다른 활동 없이 지냈다. 많지 않은 나이에 부인을 잃었지만 재혼하지 않았다.

 

   최명길과 최후량은 처한 자리가 매우 달랐고 업적이나 명성 또한 차이가 난다. 하지만 삶의 방식은 닮았다. 명분이나 관습을 존중하되 당면한 현실에 맞게 절충하고 타협하는 자세, 옳다고 믿는 것을 위해 위험과 비난을 무릅쓰는 결기. 『인조실록』을 기록한 사관은 최명길의 졸기(卒記)에서 최명길이 명분을 어그러뜨린 소인이라고 한껏 비난한 뒤에 이렇게 덧붙였다. “그러나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 피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갔고, 일을 처리하는 능력은 따라올 사람이 없었으니 역시 한 시대를 구제한 재상이라 할 만하다.[然凡有緩急, 直前不避, 臨事剖析, 人無能及, 亦可謂救時之相也.]” 최후량도 그런 사람이었다.

 
글쓴이최두헌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저서 및 논문
  • 『사필, 사론으로 본 조선왕조실록』(공저), 한국고전번역원, 2016
  • 「필기의 관점에서 본 『이목구심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관련기사목록